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공부29

성격과 행복 성격은 행복과도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성격은 인간관계와 직업적 활동을 비롯하여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심리적/환경적 요인들을 조사한 긍정심리학자들에 따르면, 성격은 개인의 행복을 예측하는 강력한 요인이다. ■ 주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 행복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대다수 긍정심리학자들은 안락 주의(Hedonism)의 행복관에 근거하여 행복을 주관적 안녕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연구한다.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은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높은 긍정 정서와 낮은 부정 정서의 심리적 상태로 정의된다. 주관적 안녕은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로 구분될 수 있다. 인지적 요소는 개인이 나름대.. 2022. 2. 11.
성격과 심리치료의 효과 ■ 심리치료가 어려운 성격 유형 성격은 심리치료의 과정과 효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성격은 심리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치료자의 지시에 협조적으로 순응하며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5가지의 성격 요인 중 높은 신경과민성과 낮은 외향성(즉, 높은 내향성)은 심리치료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성격특성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과민성의 한 측면인 높은 자의식과 완벽주의는 심리치료의 효과를 제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완벽주의자들은 치료자와의 효과적인 동맹 형성에 어려움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치료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내향성이 강한 내담자들도 치료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을 나타낸다. ■ 심리치료에 도움이 되는 성격 유형 우호성, 성실성, 개방성은 심리치료.. 2022. 2. 9.
성격이 정신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성격이 정신장애를 유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은 Caspi가 제시하고 있는 개인-환경 상호작용 이론이다. 성격(Ex. 신경과민성)이 개인으로 하여금 환경(Ex. 직장동료)과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도록 만듦으로써 정신장애를 유발하게 한다는 주장이다. Caspi는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세 가지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 반응적 개인-환경 상호작용(Reactive person-environment transaction) 개인의 성격이 환경적 사건에 반응하고 그러한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사람마다 동일한 사건에 반응하는 방식이 다른 것은 성격의 개인차 때문이다. 예컨대, 신경과민성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서 사소한 좌절에 대해서 더 높은 부정 정서를 느낄.. 2022. 2. 9.
5가지 성격요인 및 기질과 성격장애 ■ 5가지의 성격요인과 성격장애 성격장애는 개인의 내면적 경험과 행동 양식이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서 심하게 벗어날 뿐만 아니라 융통성이 없이 생활 전반에 넓게 퍼져 있어 사회적/직업적 영역에서 심각한 고통이나 부적응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는 성격장애를 10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크게 세 군집, 즉 A, B, C군 성격장애로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5가지의 성격 요인과 성격장애의 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경과민성 : 경계선/편집성/분열형/회피성/의존성 성격장애와 정적 상관을 나타냄 우호성 : 의존성 성격장애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반사회성/편집성 성격장애와는 부적 상관을 보임 외향성 : 연극성 성격장애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지만 분열성.. 2022.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