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공부29

스트레스에 대해서... ■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스트레스는 사람이 도전적으로 지각하는 환경에 대한 신체적 불편이나 심리적 불편 반응이다. 아마도 사람은 이런 반응을 아주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근육이 긴장되고, 위가 불편해지고, 맥박이 빨라지고 이를 갈기도 한다. 화가 나기도 하고, 안절부절못하고, 슬프거나 신경이 과민해질 수 있다. 심리학자들이 스트레스에 관해 말할 때는 스트레스를 초래한 사건이나 상황이 아니라 그에 대한 불편한 반응을 언급하는 것임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때때로 일상 언어로, 우리는 스트레스란 단어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그 반응을 초래한 상황 둘 다를 칭하는 단어로 사용하는데, 이는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해야만 하는 PT발표에 대해 많은 스트레스를 느낀다", 그리고 "이런.. 2022. 2. 15.
부정적 사건에 의한 비자발적인 성격변화 인생에서 경험하게 되는 주요 사건들은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커다란 충격을 주는 부정적인 사건들은 자기관과 인생관을 뒤흔들어 성격을 변화시킨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성격과 사건은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격이 부정적 사건을 초래할 수도 있고, 부정적 사건이 성격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부정적 사건에 대처하는 방식 역시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르다. 부정적 사건이 성격을 변화시킨다면, 과연 어떤 심리적 과정을 통해서 성격 변화를 유발하는 것일까? ■ 외상으로 인한 성격적 변화과정 외상경험은성격의 변화를 촉발할 수 있다. 충격적인 부정적 사건, 즉 외상(Trauma)은 매우 고통스러운 경험으로서 개인의 성격에 커다란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외상은 그 유발요인에 따라 강간, 폭행, 강도, .. 2022. 2. 15.
성격변화와 관련된 평가기준 성격은 일단 형성되면 잘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성격의 정의 자체가 안정성을 내포하고 있다. 성격은 정서, 인지, 행동 경향성의 지속적인 패턴으로 정의된다. 성격에 대한 대부분의 정의는 개인이 지닌 심리적 특성의 시간적 안정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관성 없이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하는 개인의 심리적 상태와 행동은 성격적 특성으로 여기지 않는다. 이처럼 성격의 정의에 포함되어 있는 '안정성', '지속성', '일관성'이라는 말에는 성격이 쉽게 변하지 않는 심리적 성향이라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렇다면 성격은 일단 형성되면 고정된 상태로 평생 변화하지 않는 것일까? ■ 성격 변화의 평가기준 성격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변화할까? 어떤 성격특성이 얼마나 변화할까? 성격의 변화 패턴은 모든 집단에서.. 2022. 2. 15.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징 주관적 안녕에는 인구 사회학적 요인들보다 심리적 또는 성격적 요인들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개인의 성격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신과 환경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행복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5가지의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 성격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많은 실증적 연구에서 나타난 성격과 주관적 안녕의 상관관계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주관적 안녕에 대한 정의뿐만 아니라 연구에서 사용한 표집과 측정도구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경과민성과 외향성은 주관적 안녕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성격요인으로 나타났다. 외향성은 주관적 안녕과 정적 관계를 지니는.. 2022.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