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은 인간관계의 질과 밀접히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관계의 질은 관계 만족도, 관계 안정성, 친밀감, 관계 지속기간, 사랑의 스타일. 이혼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되고 있다.
■ 성격의 다섯 가지 유형
- 신경과민성(Neuroticism)
신경과민성은 불안, 우울, 분노를 비롯한 부정 정서를 잘 느끼는 성격특성을 뜻하며 부정 정서성 또는 정서적 불안정성을 의미한다. 신경과민성이 높은 사람들은 정서적으로 예민하고 불안정하며, 사소한 일에도 스트레스를 잘 받는 경향이 있다.
신경과민성은 인간관계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성격 특질로 밝혀지고 있다. 신경과 민성은 다양한 인간관계의 만족도나 결혼생활 안정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관계 지속기간의 단축이나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 귀인과 밀접히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자의 경우, 신경과민성이 높을 사람은 이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신경과민성은 사랑의 스타일과도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ehr와 Broughton에 따르면, 신경과 민성은 성적이고 집착적인 사랑과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우애적인 사랑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신경과 민성은 마니아(Mania, 집착적 사랑)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는 반면, 스토게(Stoge, 우애적 사랑)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 외향성(Extraversion)
외향성은 다른 사람과 함께 교류하는 인간고나계적 자극을 추구하는 성향을 뜻한다. 외향성이 강한 사람들은 심리적 에너지의 방향이 외부를 향해 있으며, 활동 수준이 높아서 사교적이고, 자기주장을 잘하며, 긍정적인 정서를 잘 느끼는 경향이 있다.
외향성은 인간관계에 양면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외향성은 인간고나계 만족도, 결혼 성공, 친밀감과 같은 긍정적인 관계 변인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향성은 결혼생활 불안정성과 같은 부정적인 관계 변인과도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자의 경우, 외향성은 낮은 관계 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로 인해 외향성이 높은 남자는 이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의 하위요인인 흥분 추구는 사랑 스타일 중 프라그마(Pragma, 실용적 사랑)나 스토게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외향성은 우애적 사랑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외향성은 부부관계나 사랑 스타일과의 관계에서 다소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 개방성(Opennes to experience)
개방성은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체험을 좋아하며, 다양한 경험과 가치에 대해서 열린 자세를 뜻한다.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은 모험적이고, 미적 감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상상력이 풍부하며, 지적인 탐구심이 강하다.
개방성은 결혼생활의 안정성이나 관계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개방성은 특히 관계 지속기간의 단축과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eonnellan, Conger와 Bryant에 따르면, 개방성이 부부간의 부정적인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아내의 개방성은 성적 만족의 전반적 평가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개방성은 남녀 모두 에로스(Eros, 낭만적 사랑)와 마니아의 사랑 스타일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여자의 경우는 프라그마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개방성은 이성관계의 친밀성을 증진하는 기능을 지닌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성격요인 중 하나다.
- 우호성(Agreeableness)
우호성은 다른 사람에 대해서 우호적이고, 협동적인 성향을 뜻하며, 친화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공감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우호성은 인간관계의 질을 높여주는 성격변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호성은 많은 연구에서 인간관계 만족도뿐만 아니라 결혼생활 안정성과도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사랑 스타일과의 관계에 있어서 우호성은 여자의 경우 에로스나 아가페(Agape, 이타적 사랑)와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프라그마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남자의 경우는 스토게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남녀 모두에서 루더스(Rudus, 유희적 사랑)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 성실성(Conscientiousness)
성실성은 자기조절을 잘하고, 책임감이 강한 성취지향적인 성향을 말한다. 성실성이 높은 사람들은 주어진 일을 유능하게 잘 처리하며, 계획적이고, 신중하며, 질서 정연한 것을 좋아한다.
성실성과 인간관계의 관계에 대해서 다소 혼재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성실성은 인간관계 만족도, 관계안정성 그리고 관계 지속기간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성실성의 하위 요인인 질서 정연성(orderliness)은 이혼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랑 스타일과의 관계에서 성실성은 여자의 경우 에로스나 아가페와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남자의 경우는 마니아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심리학 공부 > 사람의 성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자의 선택에 성격이 미치는 영향 (0) | 2022.01.29 |
---|---|
애착유형과 이성관계 (0) | 2022.01.29 |
성격과 사랑 스타일 (0) | 2022.01.28 |
성격에 따른 대인관계 이론 (0) | 2022.01.27 |
성격과 인간관계에 대하여.. (0) | 2022.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