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공부/사람의 성격

애착유형과 이성관계

by Mr.강부자 2022. 1. 29.

  어린 시절의 애착 경험이 성인기의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owlby에 따르면, 어머니와의 관계 경험은 아동이 자기 표상과 타인 표상을 형성하는 데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자기 표상과 타인 표상은 대인관계의 내적 작용 모델이 되어 개인이 대인관계 상황을 파악하고 예측하며 타인에 대한 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성인기의 애착 유형

  영아기에 형성된 애착유형은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George 등은 성인 애착 면접을 통해서 성인의 애착 유형이 영아기의 애착 패턴과 상당히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유아기에 형성된 애착 유형이 성인기의 이성관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Bartholomew와 Horowitz는 성인의 애착유형과 내적 작동 모델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들은 연인관계에서 느끼는 불안의 정도와 친밀한 관계를 회피하는 정도에 따라 성인이 애착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 첫째, 불안-집착형(Anxious-preoccupied type)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표상을 지니지만 타인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표상을 지닌 사람들이다. 이들은 연인관계에서 불안 수준이 높으며 상대방에게 강렬하게 집착하는 관계패턴을 나타내는 사람들로서 연인과의 친밀감을 열망하는 동시에 거부에 대한 불안을 지닌다.

 

  • 둘째, 거부-회피형(Dismissing-avoidant prototype)

   자신에 대해서는 긍적적인 표상을 지니지만 타인에 대해서 부정적인 표상을 지닌 사람들이다. 이들은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불편해하며, 과도하게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는 사람으로서 연인과 적당한 거리를 두어 서로 구속하지 않는 자유로운 관계를 추구한다. 이들은 서로 집착하는 강렬한 애정관계가 되는 것을 불편해하며 회피한다. 이들은 자신의 애착 욕구를 억압하는 경향이 있으며, 상대방으로부터 거부당하지 않기 위해서 상대방에게 가까이 다가가지 않으려는 방어적인 성향을 지닌다.

 

  • 셋째, 공포-회피형(Fearful-avoidant type)

   자신과 타인 모두에 대해서 부정적인 표상을 지닌 사람들이다. 이들은 타인을 두려워하며 회피하는 사람으로서 애정관계에 대해서 양가적인 태도를 지닌다. 한편으론 다른 사람과 가까워지고 싶지만, 다른 한편으론 가까워지는 것이 두렵고 불편하다. 이들은 자신과 타인 모두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으며, 자신은 좋은 연인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동시에 상대방을 신뢰하지도 못한다. 그 결과 이들은 다른 사람과의 친밀한 관계를 잘 맺지 못하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 넷째, 안정-애착형(Secure-attachment type)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표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신감을 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쉽게 다가간다. 이들은 상대방의 생각이나 욕구를 고려하여 호의적으로 반응하는 따뜻한 상호작용 패턴을 지니고 있으며, 상대방을 신뢰하기 때문에 사소한 갈등이나 좌절에 대해 과도한 감정반응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상대방과의 친밀한 관계를 편안하게 느낄 뿐만 아니라 서로의 독립성을 인정하며, 상대방에게 과도하게 집착하지 않는다. 안정된 애착 패턴을 지닌 사람은 대인관계에서 의존과 독립의 균형을 잘 이룰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애착형의 특성이 사랑 능력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안정-애착형에 속하는 성인은 자신의 연인관계예 더 만족한다. 그들의 관계는 지속기간, 신뢰, 헌신, 상호의존성이 높다. 안정-애착형의 성인은 연인을 안전 기지로 여기면서 세상을 더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안정-애착형의 성인들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연인으로부터 지지받기를 원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받는 연인에게 지지를 제공한다. 반면에 불안-집착형의 성인들은 배우자와 갈등을 겪고 있는 중이거나 갈등이 종료된 후에도 배우자의 행동에 대해서 관계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있다.

   일시적 이별에 대한 반응도 애착 유형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공항에서 연인과 헤어지는 성인들의 행동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성인의 경우에도 아동기의 애착에서 나타나는 저항과 돌봄의 행동들이 나타났다. 이별하려는 연인들은 일반적인 연인들보다 더 많은 애착행동(만지기,바라보기,껴안기)을 더 많이 보였으며, 거부-회피형의 성인들은 이러한 애착 행동을 덜 나타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