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공부/사람의 성격

이해방식과 의사소통

by Mr.강부자 2022. 1. 30.

 ■ 긍정적 이해 방식과 부정적 이해 방식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의 행동에 대한 이해 방식이 부부 만족도에 중요하다. 여러 연구자들은 배우자에 대한 이해가 관계 만족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관계 만족도가 높은 부부들은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에 대해서는 내부적이고, 안정적인 요인으로 이해를 하는 반면, 부정적 행동에 대해서는 외부적이고 일시적인 요인으로 이해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아내가 남편의 친절한 행동에 대해서는 그의 자상한 성품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남편의 짜증스러운 행동에 대해서는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면 남편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 것이다. 부부관계가 좋지 않은 부부들은 반대의 이해 방식을 사용한다. 낙관성은 이해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낙관성은 행복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듯이, 낙관적인 부부일수록 결혼생활이 더 원만하다. 낙관적인 부부들이 만족스럽고 안정된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배우자 행동을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 방식

  긍정적 상호작용은 부부 만족도를 증진한다. Gottman에 따르면 상대방에 대한 존중적 경청, 상대방 행동행동의 수용, 상대방에 대한 기본적 배려, 상대방의 욕구를 수용하고 절충하려는 노력이 부부만족도를 증진한다. 만족스러운 부부관계를 위해서는 긍정적 배려를 많이 하는 것뿐만 아니라 갈등을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부부갈등은 결혼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일차적인 요인이다. 결혼 만족도에서 중요한 것은 갈등의 내용이나 횟수보다 갈등을 다루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갈등을 적절하게 해소하지 못하는 의사소통 문제는 이혼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증폭시키는 부부들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의사소통 특성을 나타낸다.

 

  1. 비판적 행동 : 상대방의 인격과 성품에 대해 비난하거나 공격함.
  2. 경멸적 행동 : 상대방을 무시하고 모욕감을 줌.(모욕적 언사뿐만 아니라 공격적 농담, 조롱과 비웃음, 혐오적 신체언어를 사용하는 심리적 폭력으로 나타남)
  3. 방어적 태도 : 상대방을 솔직하게 대하지 않으며, 자기 방어에 급급한 반응을 보임.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상처를 입지 않기 위해 노력함.
  4. 장벽 쌓기 :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을 회피하고, 신체적으로 거리를 두며, 정서적인 무관심을 나타냄.

이러한 패턴들은 부부관계를 파국으로 몰아가는 치명적인 것이다.

  Gable, Reis, Impett 및 Asher는 부부의 대화방식이 결혼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 이들은 부부의 대화방식을 적극성-소극성과 건실성-파괴성의 두 차원에서 나누어 정교하게 분석했다. 상대방에게 긍정적/부정적 사건(Ex. 직장에서의 승진)이 일어났을 때 부부가 반응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4가지 방식으로 분류되었다.

  • 적극적-건설적 반응 : "너무너무 잘 됐어요. 앞으로도 당신은 더 승진할 거예요"
  • 적극적-파괴적 반응 : "이제 직장에서 당신을 엄청나게 부려 먹겠네요"
  • 소극적-건설적 반응 : "좋은 일이네요"
  • 소극적-파괴적 반응 : "오늘은 하루 종일 비가 내리네요"와 같은 무관심을 드러내는 반응

적극적-건설적 반응 양식을 주로 교환하는 부부는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는 반면, 다른 반응양식을 주로 사용하는 부부들은 결혼 만족도가 낮았다.

 

댓글